기록에 대한 흥미로운 고찰 기록이라는 세계
기록은 과거를 남기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깊이 들여다보는 도구이다.
필사부터 감정노트, 탐구일지까지 나 라는 세계를 확장시키는 기록 습관
기록에 대한 고찰을 담은 기록이라는 세계
2025.01/ 더퀘스트
작가: 리니
기록의 가치를 전하는 커뮤니티 '아날로그 살롱'을 운영하며 17만 명의 기록 친구들과 기록과 관련된 삶의 이야기들을 나누고 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운영중이며, 지역 도서관, 학교 등에서 기록의 즐거움과 손글씨의 매력도 알리고 있다.
이 책 <기록이라는 세계>를 접한 순간, 기록이라는 것이 매우 특별하게 다가왔다, 어찌 생각하면 늘상 하고 있는 게 기록이긴 한데, 그 기록의 길이와 넓이, 깊이가 많이 다를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여기서의 길이나 넓이, 깊이는 저자의 표현이기도 하다. 어쩐지 이 책은 목차만이라도 되새겨 보는 일이 중요하겠구나 싶어서 목차 부분도 사진으로 남겨 보았다.
1장. 길이- 삶을 확장하는 기록에 대하여
: 짧은 메모, 연력, 날것의 일기, 루틴 트래커, 포토로그 등
2장. 넓이-관찰과 수집으로 이룬 재발견
: 감정 어휘, 여행 기록, 문장 수집, 클래식 노트 등
3장. 깊이-기록으로 찾아가는 나의 미래
: 월간 성찰, 미래 일기, 실패 노트, 다정한 순간의 기록 등
저자 리니의 수많은 기록 방법들 중에 내게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포토로그였다. 하루 중에 인상적인 한 시점을 사진으로 찍어 그날의 기록으로 남기는 일. 그날 마신 커피, 창밖 풍경, 우연히 마주친 꽃, 마음이 포근해졌던 누군가의 말. 그런 평범한 순간들을 사진으로 찍고, 거기에 몇 줄 덧붙이면 그게 바로 ‘나의 하루’가 되는 것이다.
하루가 한 달이 되고, 일년이 되고 나면 365개의 포토로그가 남게 된다. 손쉽게 기록을 남기는 방법이자, 나의 일 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닌가 싶어서 나 또한 실천해 보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기록은 과거를 남기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깊이 들여다보는 도구이다.
기록의 철학을 한 마디로 담고 있는 이 구절이 마음에 와 닿았다. 기록이라는 것이 비단 과거를 저장하는 데서 끝나는 게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자체를 의미 있게 들어다 보는 일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내가 지나고 있는 현재가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는 소중한 과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베어버리자니 풀 아닌 게 없지만
두고 보자니 모두가 꽃이더라
-작자 미상-
작자 미상의 인용구를 저자는 기록의 습관에도 접목시켰다.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은 일상도 찬찬히 들여다보면 나의 소중한 하루가 된다. 그러니 매 순간 기록을 하다 보면 어느덧 꽃처럼 피어나는 나의 일 년이, 10년이, 20년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하루가 어떻게 흘러갔는지도 모르게 바쁘게 지나가는 속에, 자신마저도 놓칠 수 있는 감정 또는 경험, 소중한 순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기록을 빼놓을 수 없다.
내가 어떤 하루를 살았는지, 무슨 생각을 했는지, 무엇에 웃고 울었는지를 붙잡을 수 있는 것이 기록이다. 짧고 가벼운 시작이라도 괜찮을 것 같다. 중요한 건 완벽한 기록이 아니라, 기록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기록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느끼게 됐다. 글씨로, 사진으로, 메모로, 그 어떤 방법으로든 기록을 하는 일이 중요함을 느끼게 된다.
기록은 결국 나를 잊지 않게 해주는 일. 오늘의 내가 미래의 나에게 보내는 작은 편지임을 이 책을 통해 다시 느끼게 된다. 아주 작은 일상이지만, 무심코 찍힌 사진 속에 삶이 빛나던 경험을 여러 번 해봤기에 이 책이 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마음에 새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