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글..

너에게 묻는다 - 안도현의 세 줄 짜리 좋은 시

by 비르케 2021. 9. 30.
300x250

태어나 뜨거운 삶을 불태우고, 사라질 때도 남을 위해 다 내놓을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안도현의 시, '너에게 묻는다'에는 이런 고귀한 존재가 등장한다.

바로 '연탄'이다.

 

연탄재 깔린 눈길

 

너에게 묻는다 - 안도현의 세 줄짜리 좋은 시

 

 

안도현 시인의 후기에 따르면, 이 시는 1990년대 초반 전교조 해직교사 시절에 쓴 시라고 한다. 시인 스스로 뜨거운 사람이 되고 싶은 꿈을 가지고 살던 때라고도 말한다. 

 

연탄은 검정색 정형화된 모습으로 태어나지만, 불꽃에 몸을 다 사르고 나면 희끄무레한 재로 변한다. 연탄 두 개나 세 개를 겹으로 올리고, 그중에 가장 아래 꺼져가는 연탄을 꺼낸 다음, 다시 맨 위에 새 연탄을 놓는 방식을 되풀이하며 연탄난방을 하던 때가 있었다 (물론 지금도 사라지지는 않았다). 꺼진 연탄재는 그로써 생명을 다했지만, 눈이 내리는 날이면 부서진 채 바닥에 뿌려져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도 해주었다.

 

다 탄 연탄재를 문밖에 두면 쓰레기 치우시는 분들이 알아서 수거해가곤 했는데, 그러라고 밖에다 내놓은 연탄재를 때로는 행인들이 발로 걷어차는 일이 잦았다. 특히나 밤동안에는 취객의 화풀이 대상이었다. 검은색 새 연탄에 비해 다 탄 연탄은 살짝만 스쳐도 파삭파삭 부서져버린다. 그러니 다 탄 연탄은 여기고 저기고 골목에 뒹굴고 있는 때가 많았다. 

 

300x250

 

온 힘을 다해 타올라 다른 사람들에게 뜨거운 온기를 전하고, 다 타고 나서도 이렇게 깨지고 부서지며 희생하는 연탄 같은 삶에 대해 시인은 다른 여러 편의 시에서도 한결같이 칭송했다. 그리고 누구에게 연탄 한 장 되지 못한 스스로가 밉다고도 했는데, 그런 연탄재를 차는 사람은 더 미웠을 것이다. 그래서 누군지 모를 대상에게 따지듯 묻는다.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고.

 

 

 

 시의 갈래에 대한 부연 

 

학생들에게도 유용한 시인데, 아주 간단한 부분을 헷갈려 하는 경우가 있어서 이야기해볼까 한다. 이 시의 갈래는 내용상 서정시, 형식상 자유시다. 시는 내용상 분류, 형식상 분류, 목적상 분류, 태도상 분류로 나뉘지만, 여기서는 가장 중요한 내용상 분류형식상 분류에 대해서만 이야기한다.

 

 

1. 내용상 분류: 서정시, 서사시, (극시)

학생들의 교과서에 등장하는 시들 대부분은 서정시와 서사시다. 그중에 영웅이나 신적인 존재의 스토리가 서사시다. 그러니 서사시는 현대시에서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그 나머지는 대부분은 서정시다. 서시는 개인적인 감이나 서가 주가 되는 시다. 참고로 극시도 현대에는 찾아보기 힘들다. 극(=연극)적 요소가 들어간 시다. 

 

 

2. 형식상 분류: 자유시, 정형시, (산문시)

정형이란 말은 '태가 해져 있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율격, 흔히 말하는 '라임'을 갖고 있다. 시조가 대표적이다. 운율이 바깥에 있으므로 외재율(외형률)에 속한다. (정형시→ 외재율, 외형률) 

 

반대로, 자유시는 정해져 있는 율격이 없다. 즉 라임이 강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인 글이 아니라 시이기 때문에 글 안에서 운율이 느껴진다. 이게 내재율이다. (자유시→내재율)

 

 

 

 

 부연 속에  또 부연 

     - 외재율, 외형률, 내재율 

 

어떤 때 '을 쓰고 어떤 때 ''을 쓸까?

맞춤법까지 기계가 다 잡아주는 세상이지만, 간단한 이해만으로 일상에서의 실수도 줄일 수 있다.  

 

 

받침이 없거나 ㄴ받침 + 률 →

ex. 내재율, 외재율, 백분율, 건폐율...

 

받침이 있는 경우(ㄴ받침 제외) + 률 →

ex. 외형률, 용적률...

 

 

 

  ◀ 더 읽을만한 글  ▶

 

사발에 탁주 한 모금이 생각나는 시, "주막에서"

사극에서 주막은 서민들의 애환을 그려내기에 좋은 장소다. 저마다의 목적을 가지고 길을 가는 사람들에게, 밥도 내어주고 잠자리도 내어주고, 술도, 때로는 사랑도 내어주던 곳이다. 김용호 시

birke.tistory.com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이성복

'정든 유곽에서'.. 이 시는 이성복 작가의 초기작이다. 이 시를 통해 그는 문단에 데뷔했다. 이후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라는 시집에 이 시가 함께 수록됐다. 내게는 여전히 와 닿지 않고

birk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