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글..

기억속의 들꽃, 남겨진 아이가 알아야 할 것

by 비르케 2021. 3. 20.
300x250

피난민들이 머물다 떠나간 자리에 서울 말씨를 쓰는 아이 하나가 남겨졌다. 사내아이로 보이는 거지꼴을 한 아이, 그 아이의 이름은 명선이다. 윤흥길의 소설, '기억 속의 들꽃'은 이렇게 시작된다. 어린아이들의 눈으로 본 한국전쟁을 시간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소설의 작중 화자인 '나'는 만경강 근처에 살고 있는 소년이다. 만경강에서 배를 타고 피난을 가려는 사람들이 이 마을로 계속 들어오는 동안, 이 마을 사람들은 피난민들의 옷가지며 패물들을 받고 묵을 곳을 제공하거나 양식과 바꿔 주기도 한다. 그럼에도 마을 사람들은 피난민들을 달가와하지 않는다. 별의별 이상한 사투리를 쓰는 그들이 마을을 떠도는 것도 마뜩지 않지만, 그들 중 가진 게 없는 사람들은 동냥을 하거나 도둑질도 서슴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이 머물다 간 집에는 물건이 사라지는 일도 다반사였다.

 

'나'가 길에서 만난 명선을 달고 집에 왔을 때 어머니는 뭔가 큰일이 난 것처럼 호통을 치며 야멸차게 명선을 내쫓으려 한다. 그러나 명선은 간드러진 서울 말씨로 어머니를 불러 세운다. 사실 '나'가 명선을 뿌리치지 못하고 집에 달고 온 것도, 명선의 "얘!" 하는 한 마디 서울 말씨 때문이었다. '사람을 부르는 방식부터가 우리하고 달랐다'라든가, '교과서에서나 보던 서울 말씨'라는 표현이 그걸 말해주고 있다.

 

"아줌마한테 이걸 보여드리려구요."

하면서 명선이 내민 금가락지에 어머니의 눈이 빛난다.

"아가, 너 요런 것 어디서 났냐?"

하며 어머니가 묻는 말에 명선이 주웠다고 하자, 

"아가, 요담번에 또 요런 거 생기거들랑 이 아줌마헌티 가져와야 헌다 알았냐"

그렇게 명선은 이집 식솔이 된다. 

 

 

데리고 있으면서 머슴으로 쓰려던 어머니의 맘과는 달리, 명선은 낫이고 망태기고 아무 데나 내버리고 '나'와 누나를 따라다니며 놀았다. 또, 동네 아이들의 텃세에도 굴하지 않고 대판거리로 싸움질까지 했다. 싸울 때 손톱으로 할퀴고 머리 끄덩이를 잡곤 해서 또래들의 큭큭거림을 유발하기도 했다. 서울 아이들은 싸움도 계집애처럼 간사스럽게 한다며 웃었지만 명선은 상대가 자신을 덮칠 때마다 무서운 힘을 발휘해 상대를 눌러버리고 싸움에서 승리했다.

 

"마구 소리를 지르며 엄마를 떠밀었단다. 난 그때 엄마가 죽은 줄도 몰랐어."

 

피난길에 공습을 만나 정신을 잃었다 깨어보니 어머니의 몸이 자신을 누르고 있었다며, 명선은 어머니가 죽던 날에 대해 '나'에게 털어놓는다. 어머니는 공습으로부터 자식을 보호하기 위해 명선을 감싼 채 죽은 것이었겠지만, 명선으로서는 무언가가 자신을 누를 때마다 비명을 지르며 어쩔 줄 몰라했다. 이른바 트라우마다. 

 

함께 피난길에 나선 숙부네와 헤어지게 된 날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숙부가 자신을 버리고 간 것이 아니라, 자신이 숙부에게서 도망친 거라고, 숙부는 기회가 날 때마다 자신을 죽이려고 했다고... 이유를 묻는 '나'에게 명선은 무언가 말하려다 만다. 

 

 

그즈음 어머니는 삼시세끼 밥이나 축내는 뒤퉁거리를 어떻게 내보낼지 고민 중이었다.

"천지신명 두고 허는 말이지만, 가한티 죄로 가지 않을 만큼은 했구먼요"

쌀톨이 금쪽보다 더 귀한 세상인데, 할 만큼 했다는 어머니에게, 아버지는 굶겨보면 나갈 거 아니냐고 말한다. 

 

갈수록 밥 얻어먹는 설움이 더 커지자 명선은 어느 날 금가락지 하나를 더 건넨다. 이번에도 주웠다고 말하는 명선을 향해 어머니는 처음 금가락지를 보던 때와 달리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그날 밤 아버지는 명선을 타이르다 으름짱 놓다 하면서 어디다 숨겼는지 바른대로 대라 한다. 심지어 한 번도 갈아입지도 씻지도 않은 명선의 몸에 손을 대며 옷을 뒤지려 하자 명선은 그대로 집을 나가버린다. 그날 아버지는 무슨 일이라도 낼 것처럼 눈까지 충혈된 채로 씩씩거린다. 

 

서울 아이가 금반지를 많이 가지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집에서 일하는 정님의 입을 통해 나온 소문이었다. 그날부로 명선은 마을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그 와중에 여자아이임도 밝혀진다. 명선을 노리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아버지는 명선을 이중 삼중으로 보호하고 '나'로 하여금 항상 곁을 지키도록 한다. 

 

틈이 날 때마다 명선은 '나'를 만경강 다리로 이끈다. 만경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끊어진 곳에 시멘트가 너덜너덜 붙은 끄트머리에는 철근 뭉치들이 하늘을 향해 솟아 있었는데, 오금이 굳어서 아무도 접근하지 못하는 그 끝에 명선이  매달린 채로 철근의 탄력을 받아 마치 널을 뛰듯이 훌쩍훌쩍 위아래로 까불거리기까지 한다. 누나에게서 물려받은 치마를 입은 채로.

 

그러다가 명선은 꽃 한 송이를 발견한다. 교각 위 두터운 먼지 속에 피어난 그 꽃을 보며 이름이 뭐냐고 묻는데, '나'는 알지 못하는 꽃임에도 '쥐바라숭꽃'이라며 아무렇게나 지어 말하고 만다. 

 

 

"쥐바라숭꽃... 이름처럼 이쁜 꽃이구나."

 

하며 철근 위에서 이쪽으로 건너오는데, 그때 바람이 불어 꽃이 머리에서 떨어진다. 다리 아래로 빙글빙글 돌며 길게 떨어지는 꽃을 보며 '나'는 현기증을 느낀다. 

 

금가락지의 행방에 관해 계속 다그치는 어른들에게 명선은 고개를 저으며 끝까지 침묵으로 답한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계절은 초가을로 향해 가고 있었고, 그즈음 인민군이 국방군에 쫓겨 북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자 부모님은 명선의 숙부가 명선을 찾아올 거라 생각해 그전에 어떻게든 금가락지를 손에 넣고 싶어 조바심을 친다. 

 

만경강 끊어진 교각에서 또 명선과 '나' 둘이서 놀던 어느 날, 명선이 그 위험한 곡예를 즐기고 있던 도중에 갑자기 하늘에 폭음을 울리며 호주기 편대가 지나간다. 귀가 떨어져 나갈 것 같은 소음 속에 정신이 하나도 없다가, 다른 건 무서워하지 않으면서 유독 비행기 소리를 겁내던 명선에게 생각이 미처 그쪽을 보았을 때, 빠른 속도로 떨어져 내리는 한 송이 또 다른 쥐바라숭꽃을 보게 된다. 

 

명선이 기억 속의 들꽃이 되어 사라지고 난 뒤, 나는 드디어 명선이 하던 대로 철근 있는 곳까지 갈 수 있게 된다. 그곳에서 철근 끝자락에 칭칭 동여매 둔 어떤 주머니를 보게 된다. 그 속에는 빛을 받아 반짝이는 동그라미 몇 개가 들어 있었다. 전쟁으로 부모를 잃고 홀로 살아남은 명선이 끝까지 지키려고 노력했던 것, 명선의 숙부 또는 '나'의 부모님이 그토록 안절부절했던 금가락지였던 것이다.

 

 

전쟁의 상흔 속에 홀로 남겨진 아이가 알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던 명선, 누구에게도 쉽게 지지 않고 야무지게 자기 몫을 챙길 줄 아는 모습이 인상적이라 오래 기억에 남아 있는 윤흥길의 작품이다.

 

처음에 금가락지를 보고 번득이며 좋아하던 어른들은, 시간이 지나자 "떠돌이 아이에게 이 정도면 할 만큼 했다"로 마음이 바뀐다. '천지신명'을 걸고 지키려던 그들의 최소한의 양심마저 금가락지 하나를 더 보는 순간 다 사라졌다. 마을 사람들 모두 다를 바가 없었다. 그러니 비행기 소리가 아니었더라도 기억 속의 들꽃이 되지 않기가 더 힘들지 않았겠나 하는 생각도 든다. 친척이든 누구든 어린아이 혼자 지켜내기에 버거운 비밀이었다. 

 

꼭 전쟁이 아니라 할지라도, 사고든 병마든 부모를 잃고 남겨진 아이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는 작품이다. 

 

기억속의 들꽃은 1984년 TV문학관(140화)으로도 만들어져 많은 사람의 호응을 얻었다. 액자소설 형식으로 바꿔, 숙부가 명선을 찾는 이야기를 가미해 원작과는 그 부분이 많이 달라졌다. 아마도 '이산가족 찾기'를 하던 때라서 일부러 연출한 감이 있다. 그래도 전쟁 속 꼬질꼬질한 명선의 모습이나 그때의 풍경들을 연출하기에는 현재 만든 드라마보다 훨씬 사실감 있지 않나 싶다. 유튜브를 통해 아직도 '기억 속의 들꽃'을 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