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드라마..

TV문학관 외촌장 기행, 80년대 길거리 풍경

by 비르케 2023. 12. 18.
300x250
TV문학관은 컨셉 자체가 문학작품을 극화한 것이기에 단막으로서의 완성도가 높은 작품들이 많다. 또한 사람에 따라서는 당시의 시대상을 보는 일이 더 즐겁다. 외장촌 기행도 그런 작품이다. 장을 떠도는 한 여자를 사랑하게 된 어느 남자의 이야기를 담았다.

TV문학관 외촌장 기행, 80년대 길거리 풍경

TV문학관 - 외촌장 기행(1987)

원작: 김주영 - '외촌장 기행'

출연: 이종남(분옥), 김희라(장씨), 이성호(세철), 고희준(봉구), 김을동(동백집주인) 등

 

 

인트로에 봉고차 한 대가 등장한다.

차 안에는 세 사람이 타고 있다.

차를 운전하는 장씨와 조수석에 봉구, 그리고 뒤에서 화장을 하고 있는 분옥이다.

이 세 사람은 장터에서 공연을 하며 물건을 파는 떠돌이들이다.

 

이 작품은 원작인 김주영의 소설에서 많이 벗어나 각색되었다.

그래도 현대의 시각에서 보자면 나름대로 구성이 찰진 면이 있다. 

 

분옥이 공연하는 뒤쪽으로 당시 사람들의 모습도 잡힌다. 

풍경도 사람들도 그때 그 모습 그대로다. 

 

 

그리고 또 한 사람, 사람을 찾아 낯선 시골장터에 온 세철이다.

세철은 장에서 노래를 부르는 있던 분옥의 모습을 보고 그만 한눈에 반하고 만다.

취업사기를 당해 이른바 '그놈'을 찾고 있던 와중에, 얼굴에 화색이 도는 세철.

 

세철이 등장하는 도입부에서 장터씬이 꽤 오래 잡힌다. 

장터도 오래전 기억 속의 모습 딱 그대로다. 

 

 

이미 '분옥'이라는 여자의 그물에 걸려버린 이 남자.

여자만 보면 사시나무 떨듯 떠는 캐릭터인데, 어쩐지 분옥만큼은 편안하다. 

 

술집 배경에 보이는 가격표도 새삼 놀랍다.

순대고기 일인분 2천원, 국밥 1,500원, 곱창1접시 2,500원...

이런데도 극중에서는 물가가 비싸다는 표현이 등장한다.

 

 

분옥이 세철에게 술 한 잔 사달라고 할 때 그를 벗겨먹는줄(?) 알았다.

그러나 분옥은 그렇게 독한 여자가 아니다.

사실 그녀는 함께 다니는 장씨만을 바라보는 순정파이기도 하다. 

원래는 작부였는데, 떠돌이 장씨와 눈이 맞아 그를 따라다니는 중.

 

 

이리저리 팔려다니는 신세였던 그녀에게 자유를 준 남자.

그런 장씨는 그녀에게 가깝고도 때로 먼 남자다. 

겨우 분옥의 몸값은 지불했지만 방 한 칸 얻을 돈이 없으니, 그와 살림을 차리고 싶은 분옥의 꿈은 늘 꿈일 뿐.

 

 

여차저차 이렇게 삼각 구도가 이뤄지고 만다. 

자기 두고 도망간 분옥에게나, 데리고 떠난 세철에게 성질자랑 한 판 제대로 할 것만 같은 장씨.

그옆에서 분옥은 너네 맘대로 해라 하고 물러나 술만 마셔댄다.

 

장씨는 의외로 차분하다. 

'난 잃을 게 없지만, 당신 같은 사람은 잃는 게 많아.'

이런 식의, 수긍이 가면서도 명확한 언사만 이어갈 뿐.  

 

 결국 세철은 두 사람이 쓰는 옆방에서 하얀 밤을 보내게 된다.

 

 

여전히 분옥을 잊지 못하는 세철.

그녀를 찾아헤매다 결국은 만나게 되었는데, 예전과 달리 찬바람이 쌩 도는 분옥이다.

머물 방 한 칸 없이 떠돌이 인생을 살아야만 하는 분옥의 마음에 서서히 다가가는 세철.

 

처음 분옥을 만났을 때 그녀가 그랬다. 

"어떤 남자든 진짜 좋아하는 아가씨가 생기면 물불을 안 가리고 뛰어든대요."

처음으로 사랑을 느껴본 세철이 그녀를 향해 돌진한다. 

 

어딘지 어울리지 않는 두 사람의 마음이 향하는 곳은 어디일까.

이런 인연으로 맺어진 사람들은 행복할 수 있을까.

 

분옥의 역을 맛깔나게 소화한 이종남 배우 덕분에 정말 재미있게 보았다. 

장씨 역할 김희라 배우의 괄괄한 연기도 새삼 눈여겨보게 되었다. 

또 장씨라는 캐릭터의 무게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된다. 

겉으로는 대충 사는 인생 같은데, 헤아리기 힘든 우직함과 따뜻함이 있다.  

 

또 하나, 이 작품이 좋았던 이유는 80년대 풍경이 오롯이 담겨서였다.

당시의 거리도, 사람들도 가감 없이 볼 수 있기에, 드라마를 넘어 하나의 소중한 기록으로 여겨진다.

 

반응형

댓글